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명품의 조건, 카리스마

반응형

부와 명성을 손에 쥐려면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일까? 그것은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이다. 그것을 카리스마라고 한다.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다 그들만의 스타일이나 매력이 있다. F. 케네디와 빌 클린턴이 백악관으로 들어갈 수 있었던 비결도, 나폴레옹 군대가 알프스를 넘을 수 있었던 비결도 바로 그들의 카리스마 때문이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자 행동경제학의 창시자, 대니얼 카너먼 교수는 “성공을 좌우하는 가장 결정적인 조건은 지능이나 학벌, 운이 아니라 매력이다.”라고 했다케네디 대통령이나 피카소 같은 카리스마 넘치는 사람들을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런 말을 한다. “그 사람을 만난 순간 전기에 감전된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 사람의 눈 속으로 빨려 들어가, 그를 위해서라면 불 속이라도 뛰어들겠다는 마음이었습니다.

 

배를 건조할 조선소도 없는 정주영 회장에게 유조선 척을 발주해준 그리스 선박왕, 리바노스에게 그런 비이성적인 판단을 했느냐고 질문했을 , 그의 대답은 이랬다. "정회장을 처음 만났을 단박에 매우 강렬한 인상을 받았습니다." 마디로 리바노스를 설득할 있었던 것은 바로 정주영회장의 강렬한 인상, 카리스마였다. 고객들은 카리스마 넘치는 세일즈맨을 보는 순간 이유불문, 오직 사고 싶다는 생각뿐이다

 

비즈니스맨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의 성공을 결정짓는 핵심요소는 무엇일까그것은 학벌이나 지능이 아니다. 그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나를 좋아하게 만들고, 신뢰하게 만들고 따르게 만드는 능력이다. 그것이 카리스마다. 카리스마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강한 매력, 이끌림이다. 누구라도 카리스마가 느껴지는 사람에게 매료된다. 갑과 을을 가르는 것은 포지션이 아니다. 카리스마를 누가 가졌는가에 달려 있다. 그래서 성공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카리스마 넘치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상품에도 카리스마가 있으면 명품이라고 부른다. 명품 바람둥이가 바로

‘카사노바’였다. 루이비통의 브랜딩 전략은 “모든 여성들에게 동경의 대상이 되고 어떻게든 손에 넣고 싶게 만드는 매혹적인 브랜드”이다. 이것은 바로 카사노바의 포지셔닝 전략이었다.

 

  마케팅과 세일즈, 연애는 일맥상통하다. 그것은 모두 다 그 남자와 그 여자의 마음이 어디로 향해 있는지를 고민하고 잡으려는 행위이다. 즉 고객과 연인에 대한 구애와 유혹의 기술이며, 그 성공여부는 ‘미끼’라고 하는 탁월한 매력, 카리스마를 바탕으로 한다. 진정한 카리스마는 결코 강제력에서 나오지 않는다. 그것은 타인들의 자발적 지지에서 나온다.

 

  카사노바는 늘 '어떻게 하면 그녀의 마음을 얻을 수 있을까?'를 고민한 사람이었다. 그래서 그는 늘 상대로부터 무엇을 얻을지 보다 상대에게 무엇을 줄지를 고민했다. 그는 결코 설득하려고 하지 않았다뿐만 아니라 그는 결코 여성들에게 강제력을 행사하지 않았다. 상대여성들이 스스로 빨려 들게 만드는 매력, 카리스마를 지녔다.

 

  세일즈도 마찬가지다. 고객들은 카리스마 넘치는 세일즈맨을 보는 순간, 상품에 대한 설명을 다 듣기도 전에 그에게 사야겠다고 마음속으로 결정한다.

 

지금과 같이 경쟁이 치열한 시대에는 하수들이 설 자리가 없다. 고수로 거듭나야 한다. 그 길을 카사노바에게 배워야 한다. 카사노바의 성()에 대한 윤리의식과 도덕성에 대한 비판을 접어두고 영업측면에서 그를 연구하면 마케팅이나 세일즈의 전략이 보인다. 새로운 시각으로 카사노바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https://unbadon.tistory.com/

 

운명을 바꾸는 돈공부(운바돈)

손자병법에 “무릇 적에 대해서도 모르고 나에 대해서도 모르면 싸울 때마다 위험에 처한다.”고 했습니다. 돈을 벌고 쓰는 곳도 전쟁터입니다. 돈을 모른 채 자본주의라는 전쟁터에 나간다면

unbadon.tistory.com

https://hongikbuza.tistory.com/

 

돈도불이

세간 속에 도(道)가 있다. 부(富)를 이루는 방법을 깨닫는 일은 세간의 일이지만 동시에 도(道) 닦는 일이다. 도(道)를 알아야 돈에 휘둘리지 않게 된다. 부와 가난함의 원인을 외부가 아닌 자신의

hongikbuza.tistory.com

 

반응형